본문 바로가기

유산균3

공복에 유산균, 식후 유산균 언제 먹는 것이 좋나요? 40대부터 유산균을 먹어야 하는 이유

유산균, 공복에 먹어야 할까? 식후에 먹어야 할까?항상 고민되지 않나요? 저는 예전에 빈속에 유산균을 먹어야 위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장으로 간다해서 빈속에 먹었던 적이 있구요. 또 어떤 사람은 식후에 먹는 게 좋다고도 하고요.그래서 오늘은 유산균 식후에 먹는 것과 식전에 먹는 것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유산균, 공복 섭취 괜찮을까?아침 공복에 유산균을 섭취해도 괜찮을까요?아마 유산균이 위산에 의해 파괴될 것을 걱정하는 분들이 식전에 드실 것 같은데요.걱정과 달리 대부분의 유산균은 위산과 담즙에 강한 내성을 가진다고 합니다.유산균은 기본적으로 내산성(산에 견디는 힘)을 갖추고 있음.장까지 살아서 도달하는 생존율이 높은 균주가 사용됨.식전, 식후 관계없이 꾸준히 섭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함.다만 꾸.. 건강 정보/영양정보 , 건강상식 2025. 3. 9.

프리바이오틱스와 프로바이오틱스차이점이 있나요?

우선 프리바이오틱스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는 장내에서 유익한 미생물, 특히 박테리아의 성장과 활동을 촉진하는 식이섬유의 일종입니다. 이 미생물들은 소화기 건강을 유지하고 면역 체계를 지원하며 전반적인 건강에 기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프리바이오틱스는 과일, 채소, 콩류, 통곡물을 포함한 다양한 식물성 식품에서 발견됩니다. 가장 일반적인 프리바이오틱 화합물로는 프럭토올리고당(FOS), 이눌린, 갈락토올리고당(GOS), 저항성 녹말 등이 있습니다. 프리바이오틱 섬유가 대장에 도달하면 장내 세균에 의해 발효되어 아세테이트, 뷰티레이트, 프로피오네이트와 같은 짧은 사슬 지방산을 생성합니다. 이 SCFA는 대장에 있는 세포에 에너지를 제공하고 염증을 줄이고 해로운 박테리.. 건강 정보/영양정보 , 건강상식 2023. 2. 24.

유산균 장건강 지킴이! 그럼 프로바이오틱스는 무엇일까?

유산균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유산균(Lactobacillus)은 사람과 동물의 소화관, 입, 질에서 흔히 발견되는 유산균의 한 속입니다. 이들은 그람 양성, 비포자 형성, 혐기성 또는 미세 혐기성이며, 포도당 대사의 주요 산물로서 젖산을 생성합니다. 유산균 종들은 다양한 식품과 프로바이오틱스의 생산에 사용됩니다. 락토바실리는 200종 이상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생리학적, 생화학적 특성에 따라 분류됩니다. 대표적인 종으로는 락토바실러스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casei), 락토바실러스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rhamnosus) 등이 있습니다. 각각의 종은 다른 환경에서 번성할 수 있는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유산균은 소화기 건강.. 건강 정보/영양정보 , 건강상식 2023. 2. 24.